간직곳(자료실)

토박이말바라기의 간직곳(자료실)입니다

#토박이말바라기 #이창수 #토박이말 #살리기 #터박이말 #참우리말 #순우리말 #고유어 #까치설 #쇠다 #설빔

 

[설과 아랑곳한 토박이말]까치설 쇠다 설빔

 

해마다 설을 맞이하는데 설날 어떤 이야기를 나누시는지 궁금합니다. 설을 앞뒤로 듣거나 쓰게 되는 말 가운데 알고 쓰면 좋을 말 세 가지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.

설 과 아랑곳한 토박이말 1 .jpg

 

먼저 ‘까치설’이라는 말입니다. “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.”라는 애노래(동요) 때문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는 ‘까치설’이란 말의 뜻을 아는 분들이 많지 않더라구요. 말집(사전)에 찾으면 ‘어린아이의 말로 설날의 전날 곧 섣달 그믐날을 이르는 말’이라고 풀이를 해 놓았지요. 이 ‘까치설’을 두고 여러 가지 풀이가 있지만 가장 그럴 듯한 풀이는 옛날부터 설 앞날을 ‘작은설이라고 했고 작은설이라는 뜻으로 ‘아치설’ 또는 ‘아찬설’이라고 했다는 거죠. ‘아치설’의 ‘아치’는 ‘작다’는 뜻을 지닌 말인데 그 뜻을 잃어버리면서 소리가 비슷한 ‘까치’로 바뀌었다는 겁니다. 이를 뒷받침하는 다른 보기로 음력 스무이틀(22일) 조금을 남서쪽에 있는 고장에서는 ‘아치조금’이라고 하는데 경기도 쪽에 있는 고장에서는 ‘까치조금’이라고 한답니다. 그 밖에도 제가 자란 고장에서는 ‘송아지’를 ‘송아치’라고 했는데 ‘송아치’의 ‘아치’도 아마 같은 뜻을 가진 보기라고 할 수 있지 싶습니다.

 

다음으로 알려드릴 말은 ‘쇠다’입니다. 둘레 사람들 가운데 “설을 잘 쉬었나?”라고 하시는 분들이 적지 않은데 이는 ‘쉬다’와 ‘쇠다’를 헷갈려 하시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. 좋은 날, 돌날, 기림날이라 할 수 있는 ‘명절, 생일, 기념일을 맞이하여 지내다’라는 뜻을 가진 말이 바로 ‘쇠다’입니다. “한가위 잘 쇠시기 바랍니다.”처럼 쓸 수 있고 설을 앞두고는 “설 잘 쇠기기 바랍니다.”처럼 하시면 됩니다. 설을 지난 뒤에는 “설 잘 쇠셨습니까?”라고 하시면 되니까 ‘쇠다’라는 말을 알맞게 자주 써 주셨으면 좋겠습니다.

 

마지막으로 알려드릴 말은 ‘설빔’입니다. 다들 ‘설빔’이라는 말을 많이 쓰면서도 그 뜻을 아는 분은 많지 않습니다. ‘설빔’은 ‘설’+‘비음’의 짜임으로 이루어진 말인데 ‘비음’이 ‘좋은날(명절) 또는 잔치 때 새 옷을 입고 곱게 꾸미거나 모양을 내는 일’을 일컫는 말입니다. ‘설비음’이 줄어서 ‘설빔’이 된 것입니다. 이처럼 ‘설빔’은 설날에 새 옷을 차려 입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그 뜻이 조금씩 바뀌어 설날 입는 새 옷이나 신발 따위를 가리키는 말로 쓰고 있는 것이지요.

 

*이 글은 경남일보에도 보냈습니다.